정부가 2025년까지 부산 금융중심지인 남구 문현동 일대에 금융권 데이터센터를 구축한다. 또한 디지털금융 역량 강화를 위해 민간 주도 디지털금융 전문대학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부산일보〉가 7일 단독 입수한 ‘제6차 금융중심지 조성 및 발전에 관한 기본계획’ 요약본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금융중심지 내실화 차원에서 부산, 서울 금융중심지별 맞춤형 전략을 세우고 글로벌 금융강국과 금융중심지로의 도약을 위해 인바운드(해외 금융사 유치)·아웃바운드(국내 금융사 진출) 투트랙 지원 전략을 수립했다. 금융중심지 기본계획은 향후 3년간 정부의 금융중심지 비전과 정책방향의 밑그림을 담은 일종의 계획서다.
우선 금융위는 부산 금융중심지와 관련, △금융인프라 및 금융생태계 강화 △해양특화금융 활성화 △디지털금융 역량 강화 등 3대 발전계획을 설정했다.
구체적으로 부산 금융인프라, 생태계 강화를 위해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주변에 금융권 데이터센터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또 부산형 스케일업 모펀드를 조성한다. 관련 기업들에 재정 지원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부산에 해양특화금융을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해양진흥공사와 해양금융종합센터 기능을 대폭 확대하고 해양금융 전문인력도 양성한다.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꼽히는 디지털금융 역량 강화에도 집중한다. 2025년 말 완공 예정인 BIFC 3단계 공간에 디지털 금융기업을 집적하고 전국 유일 블록체인 특구인 만큼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도 확충한다. 특히 디지털 금융 핵심으로 꼽히는 핀테크, 블록체인 등 4차 산업 연관 기업의 인재 수급을 위해 디지털금융전문대학원도 신설, 대내외 금융 경쟁력을 선제적으로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다만 당초 포함될 것으로 기대됐던 ‘정책 금융중심지’ 내용은 해당 보고서에 포함되지 않았다. 앞서 부산시는 지난달 31일 ‘제49차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에서 ‘정책금융중심지 기반 구축’ 계획 추진안을 보고한 바 있다.
이 밖에도 금융위는 국내 금융사 해외 진출과 해외 금융사 국내 유치에도 적극 나선다. 우선 국내 금융사의 해외 영업 기반과 수입 비중 확대를 위해 제도적, 정책적 지원을 강화한다는 방침인데, 이를 위해 금융위 내 ‘금융 국제화 대응단’을 신설, 해외진출 및 현지영업 과정에서 애로사항을 일괄 발굴해 개선한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제6차 금융중심지 기본계획을 이달 중하순께 최종 의결할 것으로 보인다.
http://lamuett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