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부터 아파트 분양가가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영향으로 공사 단가가 오르면서 앞으로도 분양가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건설·부동산 업계는 지역간 양극화가 심화된 상황에서 어떠한 영향을 줄지 촉각을 곤두세우는 눈치다.
14일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이달 초까지 10년 동안 아파트 분양가는 연평균 약 8.62%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작년에는 무려 16.09%나 뛰었고, 올해 들어서도 이달 초 기준으로 14.78% 상승해 최근 2년 동안 유독 오름세가 가팔랐다.
수도권 등 대부분 지역이 고분양가 관리지역으로 묶여 분양가 통제 적용을 받았던 2020년과 2021년 각각 0.72%, 6.02%로 강보합과 하락했던 것과는 상이한 모습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지난 4월 말 기준 전국 민간 아파트 분양가격도 3.3㎡당 1598만5200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9.62%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들어 2월 1560만2400원에서 3월 1585만 6500원으로 상승한 후 2개월 연속 상승세다. 특히 지방의 경우 같은 기간 14.45% 오르며 전국 평균 상승률을 크게 웃돌았다.
건설업계는 앞으로 분양가 상승 추세를 이어질 것으로 보고있다. 분양가상한제 주택에 적용되는 기본형 건축비가 지난 3월부터 건설자재 가격과 노무비 인상 등에 따른 직접 공사비용 상승분이 반영되면서 ㎡당 194만3000원으로 올랐다.
공사현장에서도 분양가 상승을 예상하고 있다.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지난달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전달보다 9.1포인트 상승한 100.0으로 조사됐다.
주산연 측은 “시장이 침체된 상황에서 분양가격은 상승하고 있다”면서 “특히 시멘트 가격 상승은 분양가 인상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실제 국내 1위 시멘트 업체 쌍용C&E에 이어 성신양회도 두 번째로 시멘트 가격 인상에 나섰다. 성신양회는 지난 2일 레미콘사를 대상으로 발송한 공문에서 오는 7월부터 t당 10만5000원인 1종 벌크시멘트 가격을 12만원으로 14.3% 인상하겠다고 통보했다.
앞서 쌍용C&E는 다음달부터 1종 벌크시멘트 가격을 t당 10만4800원에서 11만9600원으로 14.1% 인상을 선언한 상태다.
청약 경쟁률 지역간 양극화 심화
분양가 상승세로 인해 청약시장에서는 가격경쟁력과 입지여건을 갖춘 단지를 중심으로 양극화가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직방 자료를 보면, 서울 1순위 청약 경쟁률은 5월 기준 82.2대 1로 집계됐다. 청약미달률은 0% 기록하며 청약시장의 관심이 뜨거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서울 외의 지역에서는 미달이 속출하며 양극화를 나타내고 있다. 지방 1순위 청약 경쟁률은 보면 경기(42.8대 1)와 광주(11.2대 1), 부산(1.1대 1)을 제외하고 대구, 인천, 울산, 충남, 경남, 제주 등이 모두 1대 1을 넘지 못했다.
청약 미달률도 경남은 100%에 달했고 대구도 91.2%였다. 제주 89.7%, 울산 84.0%, 인천 70.0%, 충남 64.3%, 부산 20.8%, 경기 4.2%, 광주 1.0% 순으로 집계됐다.
최성헌 직방 매니저는 “1순위 청약 결과 서울과 경기의 5개 단지를 제외한 모든 단지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면서 서울 중심의 청약 수요 쏠림 현상이 나타났다”며 “서울 접근성이 우수한 수도권 단지는 우수한 청약 성적을 기록했지만, 지방은 청약 미달이 속출하면서 청약 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앞으로다. 현재 사업장 곳곳에서 사업주체와 시공사 간 공사비 갈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 전문가들도 특정 지역 및 단지의 청약 결과만 가지고 시장 회복을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고 입을 모은다. 언제 다시 자금 마련에 부정적 이슈가 등장할지 모른다는 불확실성도 여전하다는 것이다.
주산연 관계자는 “정부의 규제완화 기조 속에 서울 일부 지역의 매매가격이 상승전환하면서 분양시장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경기 침체 우려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본격적인 분양시장 회복으로 이어질지는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서울의 특정 단지를 제외하고는 분양사업의 성공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이라며 “분양시장의 양극화·국지화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